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제이엘케이 JLK 1조 기업 될까?

by 매직달팽이 2025. 5. 25.
728x90
반응형

한국의 제이엘케이(JLK)와 해외의 주요 AI 기반 뇌졸중/뇌출혈 진단 기업들(Viz.ai, Aidoc, Brainomix 등)을 기술 범위, 진단 정확도, 인허가 상태, 병원 도입 수, 제품 상용화 수준 측면에서 비교한 표입니다.

📊 JLK vs 글로벌 AI 뇌졸중 진단 기업 비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제이엘케이 (JLK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Viz.ai(미국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Aidoc(이스라엘)           Brainomix(영국)

주요 질환 뇌경색, 뇌출혈, 치매 등 37개 질환 LVO(허혈), ICH(출혈) 등 ICH, PE, Fracture 등 다수 허혈성 뇌졸중 (ASPECTS)
주요 제품 AIHub, JBS-01K, JVIEW Viz LVO, Viz ICH Plus Aidoc Stroke Suite Brainomix 360 e-ASPECTS
국내외 인허가 🇰🇷 MFDS 인증, 🇪🇺 CE, 🇨🇳 CFDA 보유 (미국 FDA 없음) 🇺🇸 FDA 510(k) 다수 보유 🇺🇸 FDA, 🇪🇺 CE 인증 다수 🇺🇸 FDA 510(k), 🇪🇺 CE
AI 분석 방식 3D 이미지 분석, CT/MRI 병합 딥러닝 기반 실시간 분석 딥러닝 + PACS 통합 ASPECTS 기반 점수화
병원 도입 수 국내 병원 수십 곳, 해외 진출 초기 美 병원 1,600곳+ 전 세계 900개 병원+ 유럽·아시아 등 30여 개국 도입
기술 특이점 다양한 질환 커버, 영상통합 플랫폼 병원 내 알림/콜 프로세스 자동화 PACS 완전 통합, 멀티질환 대응 표준화된 허혈성 병변 정량화
사업화 정도 기술특례상장, 매출은 미미 Series D 투자, 수익화 중 성장 중, 미국 시장 선도 유럽 기반, 점유율 빠르게 확대
반응형

🔍 요약 분석

평가 항목 JLK 평가 글로벌 기업과의 차이점

기술 범위 진단 질환 수는 가장 넓음 (37개 이상) Viz/Aidoc은 뇌졸중에 특화되어 정확도와 반응속도에 집중
상용화 수준 국내 병원 중심, 해외는 초기 진입 글로벌 기업은 미국·유럽 대형 병원 다수 도입
규제 인증 FDA 미보유 (CE/MFDS는 보유) FDA 510(k) 보유 여부가 북미 시장 진출의 핵심
투자·인지도 코스닥 상장, 국내 중심 인지도 Viz.ai, Aidoc 등은 유니콘 급 글로벌 투자 유치
차별성 다질환/멀티모달 분석 플랫폼 지향 경쟁사는 ‘뇌졸중’ 특화로 의료진 워크플로우까지 최적화

🧠 결론

  • JLK(제이엘케이)는 뇌졸중뿐 아니라 치매, 암 등 다양한 질환에 대응 가능한 통합 AI 의료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어 범용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큽니다.
  • 반면, Viz.ai, Aidoc, Brainomix 등은 FDA 인허가 확보 및 북미/유럽 중심의 병원 도입 확대를 통한 빠른 상용화를 이뤘고, 특정 질환군(특히 뇌졸중)에 있어 진단 정확도, 처리 속도, 병원 내 알림 연동 등 실사용 중심 기능이 더 뛰어난 것으로 평가됩니다.
SMALL

AI 기반 뇌졸중 및 뇌출혈 진단 분야에서 활동하는 주요 기업들의 민감도(Sensitivity), 특이도(Specificity), 응답 시간(Processing Time)을 비교한 표입니다.

 

📊 AI 기반 뇌졸중 진단 성능 비교

기업명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민감도 (%)    특이도 (%)      응답 시간           비고

 

제이엘케이 (JLK) 86% 97% 미공개 최근 FDA 510(k) 승인 획득
Viz.ai 82% 94% 평균 5분 1,600여 개 병원에 도입
Aidoc 95% 96.7% 미공개 900여 개 병원에서 사용
Brainomix 100% 97.6% 미공개 e-ASPECTS 소프트웨어 사용
 

🔍 요약 및 분석

  • 제이엘케이 (JLK): 최근 FDA 510(k) 승인을 획득하여 미국 시장 진출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.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 높은 수준을 보이며, 다양한 질환에 대한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강점입니다.
  • Viz.ai: 미국 내 1,600여 개 병원에 도입되어 있으며, 평균 5분의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합니다. 대혈관 폐색(LVO) 탐지에 특화되어 있습니다.
  • Aidoc: 다양한 질환에 대한 AI 솔루션을 제공하며,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입니다. 900여 개 병원에서 사용 중이며, 응답 시간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.
  • Brainomix: e-ASPECTS 소프트웨어를 통해 100%의 민감도와 97.6%의 특이도를 기록하였습니다. 주로 유럽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.
728x90

🧠 결론

제이엘케이는 다양한 질환을 아우르는 통합 AI 플랫폼을 제공하며, 최근 FDA 승인을 통해 미국 시장 진출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. 반면, Viz.ai, Aidoc, Brainomix 등은 특정 질환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제공하며, 이미 미국 및 유럽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. 각 기업의 강점과 시장 전략이 다르므로, 투자나 협력 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728x90
반응형
LIST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