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3 and me #15

by 매직달팽이 2024. 4. 9.
728x90
반응형

2024년 미국 암 연구 협회(AACR) 연례 회의에서 두 가지 임상 단계 면역 종양학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발표하는 23andMe

 

2024년4월5일

  • 23ME-01473, ULBP6 표적항체 : ULBP6의 발견 및 생물학적, ULBP6 표적을 통한 자연살해제 및 T세포 매개 항종양 면역 회복 가능성에 대한 데이터 발표
  • 23ME-00610, CD200R1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: 23ME-00610을 단일 제제로 사용하거나 다른 항종양 치료제와 병용하여 T세포 및 자연살해세포에서 CD200R1 경로를 표적화하는 것에 대한 전임상 데이터가 제시될 것입니다.

샌디에이고, 2024년 4월 5일 (글로브 뉴스와이어) -- 23andMe Holding Co. (나스닥: ME) "23andMe") 대표적인 인간 유전학 및 바이오 제약 회사는 2024년 미국 암 연구 협회(AACR) 연례 회의에서 ULBP6를 대상으로 하는 23ME-01473과 CD200R1을 대상으로 하는 23ME-00610 등 두 가지 임상 단계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입니다. 2024년 4월 5일부터 10일까지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에서 열립니다.

23ME-001473 (‘1473) - ULBP6를 표적으로 하는 임상 단계 이중 기전 단일클론항체

주요 주의사항:

  • 23andMe는 인간
  • 의 유전 및 건강 정보에 대한 독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면역 질환의 더 높은 위험과 암의 더 낮은 위험과 관련된 ULBP6의 생식선 변이체를 발견하여 ULBP6가 새로운 면역 종양학(I/O) 약물 표적으로서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.
  • 데이터는 또한 가용성 ULBP6가 모든 NKG2D 리간드 중 NKG2D에 대한 가장 높은 결합 친화도로 인해 다른 가용성 NKG2D 리간드에 비해 우세한 면역 억제제임을 보여줍니다.
  • '1473은 NKG2D 및 Fc γ RIIa 활성화의 이중 기전을 통해 NK(Natural Killer) 및 T 세포의 활성화 및 종양 세포 사멸 능력을 회복시키는 고친화성 Fc 이펙터 강화 항-ULBP6 항체입니다.
728x90

주요내용:

  • ULBP6는 스트레스 유발 리간드로 암세포 표면에서 상향조절되어 NK와 T세포에서 발견되는 활성화 면역수용체 NKG2D와 결합합니다.
  • ULBP6는 종양 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면역 감시를 회피하기 위한 면역 억제 미끼 역할을 하는 가용성 형태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. 가용성 ULBP6는 암 환자 혈장에서 상승합니다.
  • 모든 인간 NKG2D 리간드 중 ULBP6는 NKG2D에 가장 높은 결합 친화력을 나타내며, 이는 PBMC 매개 인터페론-감마 분비를 억제하고 시험관 내 종양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가용성 ULBP6의 높은 효능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.
  • The Cancer Genome Atlas 및 면역조직화학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양에서 ULBP6의 발현 프로파일링은 편평 세포 암종 및 선암종의 하위 집합에서 증가된 발현을 나타냅니다.
  • '1473'의 NKG2D와 Fc γ RIIa의 이중 상승적 활성화는 NK 세포의 최적 활성화로 이어지는데, 이는 종양 내 신항원 발현의 손실로 인해 면역 억제를 역전시키고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내성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.
  • '1473은 현재 진행성 고형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한 1상 임상시험(NCT06290388)에서 평가 중입니다.

23ME-00610 - CD200R1을 표적으로 하는 임상단계 단일클론항체

주요 테이크아웃:

  • CD200R1은 환자 종양으로부터 면역세포에 침투하는 종양에서의 발현 패턴과 환자 말초 단핵 혈액 세포에서의 활성화 패턴을 모두 기반으로 하는 지배적인 면역 체크포인트이며 PD-1과 구별됩니다.
  • 23andMe 전임상 결과는 23ME-00610이 항PD-1 및 항혈관신생자와 결합할 가능성을 뒷받침합니다.
반응형

주요 세부 정보:

  • CD200R1 및 리간드 CD200의 유병률은 명확한 세포 신장 세포 및 심각한 난소암 환자의 종양 샘플에서 특징지어졌습니다.
  • CD200R1은 T 세포와 NK 세포를 포함한 종양 침투 면역 세포에서 광범위하게 발현되는 반면 PD-1의 발현은 주로 T 세포로 제한됩니다.
  • 23ME-00610은 항PD-1에 비해 암환자 말초혈액 단핵세포에서 인터페론-감마 분비를 차별적으로 향상시켰고, 23ME-00610은 T 및 NK 세포 항종양 활성을 모두 향상시켰습니다.
  • CD200/R1은 PD/L-1로부터 독립적인 면역 억제 경로로, 1차 인간 T 세포와의 전임상 조합 데이터를 기반으로 암 환자에서 시너지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• CD200R1의 리간드인 CD200은 종양 세포와 내피 세포 모두에서 발현되며, 전임상 마우스 모델에서 항-CD200과 항-VEGF의 조합은 단일 제제에 비해 종양 성장 억제를 유도했습니다.
  • 23ME-00610은 현재 임상 1/2a상(NCT05199272)의 2a상 부분에 있습니다.
728x90
반응형
LIST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