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98

"복리의 마법, 왜 모든 부자는 복리를 사랑하는가?" 1. 복리란 무엇인가?복리는 흔히 "돈이 돈을 버는 구조"라고 표현됩니다.정확히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를 말하죠. 즉, 처음에 받은 이자에 다음 이자가 붙고, 그 이자에도 또 이자가 붙는 식입니다.예를 들어 100만원을 연 이율 10%로 예금했다고 가정하면, 1년 후에는 110만원이 됩니다. 그런데 복리는 그다음 해 이자가 110만원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121만원이 됩니다. 시간이 지날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이 복리의 특징입니다.2. 단리와 복리의 차이구분 단리 복리이자 계산단리(원금)복리(원금 + 이자 기준)성장 속도선형기하급수적예시10년 후 200만원 → 300만원10년 후 200만원 → 약 518만원단리는 단순하게 처음 원금만 기준으로 이자를 붙입니다.반면 복리는 이전까지 누적된 이자까.. 2025. 4. 25.
히드로제니, 올린과 플러그파워의 합작회사, 루이지애나에 수소 액화 플랜트 가동 17일 올린과 플러그파워 Inc.(NASDAQ:PLUG)의 합작회사인 히드로제니가 루이지애나주 세인트 가브리엘에 15 TPD(일일 15톤) 수소 액화 플랜트를 가동했다고 발표했다. 북미에서 가장 큰 전해질 수소 액화 시설 중 하나인 이 사이트는 지역 수소 공급망 강화와 미국의 저탄소 에너지 전환 가속화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되고 있다.새롭게 가동된 이 시설은 올린이 생산한 수소를 액화하여 미국 전역에 트레일러로 운송하게 되며, 플러그의 자재 취급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플러그의 혁신적인 현물 가격 시장을 활용할 예정이다. 이 플랜트는 최대 용량에서 하루 15톤의 수소를 액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, 플러그의 총 생산 능력을 하루 40톤으로 증가시킨다."이 루이지애나 플랜트는 미국 수소 네트워크를 .. 2025. 4. 22.
MCFC (용융탄산염 연료전지) 알아보자 MCFC (용융탄산염 연료전지, Molten Carbonate Fuel Cell)MCFC는 고온 연료전지 중 하나로, 주로 고정형 발전용으로 사용된다. 열병합, 폐열 회수, 산업용 전원 등에 적합하며, 고온에서도 높은 전기·열 복합 효율을 발휘한다. 특히 이산화탄소의 순환 사용이 가능하여 탄소 포집과 통합된 발전 시스템으로도 주목받는다.MCFC는 탄산염(주로 Li₂CO₃, K₂CO₃의 혼합물)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고온형 연료전지다. 작동 온도는 약 600~700℃이며, 산소 대신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공기가 음극에서 반응에 참여하는 특이한 구조를 가진다.작동 원리양극 반응:H₂ + CO₃²⁻ → H₂O + CO₂ + 2e⁻음극 반응:½O₂ + CO₂ + 2e⁻ → CO₃²⁻전체 반응:H₂ + ½O₂ → H.. 2025. 4. 16.
SOFC (고체산화물 연료전지) 알아보자 SOFC (고체산화물 연료전지, Solid Oxide Fuel Cell)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르면서, 다양한 연료전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. 이 중 SOFC(Solid Oxide Fuel Cell)는 고온 작동 연료전지로, 높은 발전 효율과 연료 다양성, 시스템 유연성 등의 장점을 지닌 차세대 발전용 연료전지 기술이다. 산업 및 발전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으며, 특히 열병합 발전 및 중대형 고정형 전원으로의 적용 가능성이 크다.SOFC는 세라믹(산화물) 전해질을 사용하는 연료전지로, 일반적으로 600~1,000℃의 고온에서 작동한다. 전해질은 고체 상태의 산화지르코늄(ZrO₂) 기반이며, 산소 이온(O²⁻)이 전도된다. 수소뿐 아니라 메탄, 프로판, 천연가스 등 다양한 연료.. 2025. 4. 16.
반응형